방프리
21.03.13 주식 공부 3일차 본문
이동 평균선
최근 주가 가격의 평균을 말한다. 5일, 10일, 20,일 60일, 120일, 200일을 사용하는데
5일, 10일, 20일은 단기 이동평균선이라 하고 60일, 120일은 중기 이동평균선이라고 한다.
이동 평균선보다 주가가 낮으면 주가가 하락하고 있다는 뜻이다.
짧은 기간의 이동평균선이 긴 기간의 이동평균선보다 위에 있는 것을 정배열이라 하고,
긴 기간의 이동평균선이 짧은 기간의 이동평균선보다 위에 있는 것을 역배열이라고 한다.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 위로 돌파했을 때를 골든 크로스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 아래로 떨어졌을 때를 데드크로스라고 한다.
거래량
사람들이 매수, 매도를 하는 양. 주식을 거래하기 전 반드시 체크해야하는 부분이다. 주가가 하락하는데 거래량이 많다면
해당 종목은 더 이상 가치가 없어 사람들이 매도하는 것이므로 좋지 않은 신호이다.
주가 차트의 패턴
- 상승 삼각형 패턴 : 고점은 같고 저점이 올라오는 패턴. 저점이 올라간다는 것은 주가 상승을 의미한다. 일정한 고점라인을 돌파할 때가 바로 주가 상승의 신호
- 하락 삼각형 패턴 : 저점은 같고 고점이 내려가는 패턴. 상승 삼각형 패턴의 반대형으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는 저점을 이탈하면 새로운 하락이 시작될 수 있음
- 상승 N자형 패턴 : 상승 추세를 나타내는 전형적인 패턴. 주가가 강하게 상승한 후에는 조정을 받는데 보통 20일에서 60일 이동평균선 부근에서 지지받는 경우가 많음. 1차 상승의 고점을 돌파하면 상승추세가 지속되는 경우가 많음
- 하락 N자형 패턴 : 하락추세를 나타내는 전형적인 패턴. 상승 N자형과 동일하게 20일에서 60일 이동평균선 부근에서 지지받는 경우가 많음. 1차 하락의 저점을 돌파하면 하락추세가 지속되는 경우가 많음
- 박스권 패턴 : 주가가 상승이나 하락을 한 이후 장기간 횡보하는 흐름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패턴. 고점과 고점의 위치가 비슷하고, 저점과 저점의 위치도 비슷하다. 박스권 패턴을 벗어나서 상승권으로 돌파하면 장기간 상승랠리가 이어지고, 그 반대라면 하그 반대라면 하락랠리가 이어진다.
- W자 패턴 : 이중 바닥 형태의 패턴. 주가가 하락하고 나면 보통 반등하게 되는데 반등 후에 지속적인 상승을 보이는 경우도 있지만 대체로 한 부분 더 하락하고 상승한다.
- 플랫폼형 패턴 : 주가가 일정기간 상승하고나면 조정을 받게 되는데, 가장 조정을 받는 경우도 있지만 플랫폼 패턴으로 약한 조정을 받는 경우도 있다. 주로 주도주에서 자주 출현되는 패턴
- 헤드앤숄더 : 3번의 상성, 하락의 패턴을 통해 왼쪽 어깨, 머리, 오른쪽 어깨 형식으로 그려진 패턴, 무조건 이 패턴 이후에 하락은 아니지만 패턴이 나온 이후 저점과 저점을 연결한 지지선을 이탈할 때 비로소 하락추세가 시작
- 역 헤드앤숄더 : 헤드앤숄더 패턴의 반대 그래프 패턴. 마찬가지로 3개의 봉 형식이 그려져 있고, 지지선과 저항선을 이탈하거나 돌파할 때 상승 추세가 시작
이격도
주가와 이동평균선과의 간격을 나타내는 보조지표. 100을 기준으로 (100이면 이동평균선과 주가가 똑같음)퍼센트만큼 상승이나 하락한다. 대체로 20일 이동평균선을 많이 사용
양적완화
중앙은행이 대규모로 돈을 찍어내고, 찍어낸 돈으로 구가가 발행한 채권인 국채나 민간기업들이 발행한 회사채를 매입해 시중에 돈을 대량으로 유입하는 통화 정책. 돈의 가치를 금리인하보다 더 급격히 떨어뜨린다. 즉, 돈의 가치가 떨어졌으니 부동산이나 기타 다른 자산의 가치가 오르므로 주식 시동도 마찬가지로 상승하게 됨
MSCI
펀드는 액티브 펀드펀드는 액티브 펀드 (펀드 매니저가 직접 종목을 고르고 매수하는 방식)와 패시브 펀드(기준이 되는 지수를 그대로 따라서 매수)가 있는데, MSCI는 패시브 펀드가 기준으로 삼는 지수. 선진지수, 신흥지수, 프론티어 지수 3개로 나뉘는데 한국은 신흥지수에 편입되어 있다. 매년 2월말, 5월 말, 8월 말, 11월 말에 정기적으로 리밸런싱을 진행한다.
'재테크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3.05 주식 공부 2일차 (0) | 2021.03.05 |
---|---|
21.02.28 주식 공부 1일차 (0) | 2021.02.28 |